🧑💻 작성자: 전민재
📞 깃허브: https://github.com/ssi02014
📞 블로그: https://blog.naver.com/ssi02014
📞 문의: [email protected]
💻 Overall
⭐ 동기 vs 비동기
- 예제 이미지
- 동기는 말 그대로 동시에 일어난다는 의미이다.
-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낸 후 서버로부터 해당 요청의 응답(=결과)을 받아야 다음 동작을 실행하는 방식이다.
- 비동기는 말그대로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.
-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낸 후 서버의 응답과 관계 없이 다음 동작을 실행하는 방식이다.
- 비동기는 결과과 주어지는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그 시간동안 다른 작업이 가능해
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지만, 설계가 동기적 방식보다 복잡하다.
⭐ REST API와 RESTful API
-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는
자원(resource)의 표현(representation)에 의한 상태 전달을 의미한다.
- REST API는 REST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이다.
- URI로
정보의 자원을 표현한다.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 등)로 표현한다.
RESTful API는 REST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하다고 할 수 있다.
-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REST API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.
- 일관적인 컨벤션을 통한 API의 이해도 및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 동기이다.
- 참고 사이트
⭐ 프레임워크
- 프레임워크는
뼈대나 기반 구조를 뜻하고, 제어의 역전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기술이다.
- 프로그래밍을 진행할 때 필수적인 코드, 알고리즘 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
구조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머는 이 프레임워크의 뼈대 위에서 코드를 작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다.
- 제어의 역전이란, 어떠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에
제어의 권한을 넘김으로써 클라이언트 코드가 신경 써야 할 것을 줄이는 전략이다.